티스토리 뷰

반응형

 

2023년 9월 26일, 한국은행은 ‘금융안정 상황’ 보고서를 통해 미 연방준비제도(Fed)의 기준금리 인하가 한국 부동산 시장에 미칠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금리 인하가 부동산 가격 상승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와 그로 인해 가계부채 및 금융 안정성에 미치는 우려를 담고 있습니다.

1. 기준금리 인하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

항목 전국 주택 가격 상승률(1년 후) 서울 주택 가격 상승률(1년 후)
대출금리 0.25%p 인하 0.43%p 상승 0.83%p 상승

 

한국은행의 분석에 따르면 대출금리가 0.25%포인트 하락할 경우, 전국 주택 가격 상승률은 1년 후 약 0.43%포인트 상승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서울은 0.83%포인트 상승하여 전국 평균보다 더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대출 증가와 부동산 과열 현황

현재 부동산 시장에서의 대출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2024년 상반기 기준, 전체 주택담보대출 금액은 약 466조 7천억 원에 달하며, 그 중 LTV(주택담보대출비율)가 60%를 초과하는 고LTV 대출 금액은 155조 2천억 원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2024년 상반기 주택담보대출 증가 금액: 17조 1천억 원
  • 2013~2021년 평균 반기 증가액: 11조 5천억 원 (상반기 증가액 대비 약 48.7% 증가)
  • 2023년 하반기 주택담보대출 증가액: 12조 7천억 원

주택담보대출 증가세가 2023년 하반기와 2024년 상반기에 모두 평균치를 상회하면서, 한국은행은 부동산 시장의 과열 우려를 제기했습니다.

3. 국제 사례와 규제 대응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하와 함께 부동산 시장의 과열 방지를 위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는 점도 언급했습니다.

 

대표적인 사례로 뉴질랜드는 2023년 8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하면서, 동시에 부동산 대출 규제를 강화했습니다.

 

뉴질랜드는 대출 규제 도입 전인 7월, DTI(총부채상환비율)를 초과한 차주의 신규 대출 비중을 20%로 제한하는 조치를 마련하여 부동산 시장의 불안정을 방지하고자 했습니다.

 

이러한 조치가 한국에도 필요한 시점임을 보고서는 강조하고 있습니다.

4. 한국은행의 우려 및 전망

 

한국은행은 기준금리 인하가 단기적으로는 취약 차주의 채무 부담을 덜어줄 수 있지만,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의 위험성을 동반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특히 서울과 수도권의 주택 가격 상승세가 계속될 경우, 가계부채 관리는 더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결론

미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가 부동산 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지역별로 차이가 있지만, 한국 부동산 시장에서는 특히 서울을 중심으로 강한 상승 압력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대출 규제와 금융 안정화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https://issuelaboratory.tistory.com/414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프로젝트 착공: 서울 교통의 새로운 전환점

서울시는 2029년 완공을 목표로 동부간선도로의 지하화 공사를 착공했습니다. 이번 공사는 성북구 석관동 월릉교에서 강남구 대치동 대치우성아파트까지 12.5㎞ 구간을 지하화하는 대규모 인프

issuelaboratory.tistory.com